경제

[경제] 7년 연애끝에 이별하는 금명,영범커플 - 장기연애의 경제학

rosie_로지 2025. 3. 27. 11:10

요새 화제 드라마인 폭삭속았수다를 다들 보시나요? 

최근화에 있던 에피소드로 많은 사람들을 울린 영범이이와 금명이의 이별을 보며 

장기 연애가 끝나는 과정에 대해 경제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 

1. 기회비용과 장기 연애의 지속 가능성 

경제학원론에서 수요공급 곡선 다음으로 배우는 것이 기회비용이지요 

경제학에서 기회비용은 특정 선택을 했을 때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의 가치를 말합니다. 

연애 역시 기회비용의 영향을 받지요 

연애를 지속하는 것은 시간, 감정, 경제적 자원을 투자하는 일이기 때문에 연애를 유지할 때 포기해야 하는 다른 기회 (개인의 성장 기회 등)가 존재한다. 

장기 연애를 한 커플이 헤어지는 이유 중 하나는 시간이 흐를수록 이러한 기회비용이 점점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처음 연애를 싲가했을 때는 상대방과의 관계가 주는만족감이 이러한 기회비용을 상쇄했을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연애의 한계 효용이 감소하면 기회비용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됩니다. 

결국 특정 시점에서 연애를 지속하는 것보다 새로운 선택을 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 판단 하면 

그 커플을 이별은 선택하게 됩니다. 

 

2.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과 연애 만족도 감소 

한계 효용 체감 법칙은 동일한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할수록 추가적인 소비에서 얻는 만족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연애에 적용하면 처음 연애를 시작햇을 때는 상대방과 함께 하는 시간이 큰 행복을 제공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같은 경험에서 얻는 만족도가 줄어들기 마련이죠. 

연애 초기에는 상대방의 모든 것이 새롭고 흥미롭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익숙해지고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상대방에게 새로운 설렘을 찾기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연애에서 얻는 총효용은 증가하지만, 한계 효용은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면 연애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이별의 기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3. 게임 이론과 연애 관계에서의 전략적 선택 

게임 이론은 개인이나 집단이 상호작용을 할 때 최적의 전략을 찾는 방법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분야입니다. 

연애에서도 두 연인ㅇ느 각자의 입장에서 최적의 선택을 하려는 전략적 플레이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기 연애를 한 커플이 이별을 고민 할 때 '최수의 딜레마'와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죠. 

두 사람이 모두 연애를 지속하기를 원하면 관계는 유지되지만 한 사람이 먼저 떠날 결정을 하면 

다른 사람도 이에 대응해 이별을 선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만약 상대방이 여전히 관계를 지속하고 싶어 하지만 본인은 이별을 원할 경우 헤어지는 쪽이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죠. 

 

4. 정보 비대칭과 관계의 불균형 

연애에서 한쪽이 상대방보다 더 많은 정보(본인의 진짜 감정, 새로운 연애 가능성, 미래계획)을 가지고 잇을 때 정보 비대칭이 발생합니다. 이는 경제학에서 흔히 거래 비용을 증가시키고 시장 실패를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이미 오랜 기간 동안 연애를 시족할 의사가 없었지만 상대방은 이를 모르고 계속 관계를 유지하려고 했다고 가정해봅시다. 

결국 이별이 갑작스럽게 통보될 경우, 상대방은 심리적, 감정적으로 큰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정보 비대칭으로 인해 한쪽이 불리한 위치에 놓이는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장기 연애가 끝나는 이유를 단순한 감정 문제를 넘어서 경제학적 원리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