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이론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게임 이론에서의 핵심은 합리적 선택입니다. 각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이 합리적 선택이 반드시 집단의 이익을 극대화하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파레토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죠.
이 문제를 좀 더 쉽게 설명하려면 파레토 효율성과 게임 이론의 합리적 선택이 어떻게 충돌할 수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합리적 선택이란 무엇인가?
게임 이론에서 말하는 합리적 선택이란 각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각 사람은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선택하며, 이를 통해 최선의 선택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개념이 나쉬 균형입니다. 나쉬 균형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전략을 변경할 유인이 없을 때 발생하는 상태로 각 개인이 자신의 선택을 최적화한 결과입니다. 이는 개별적인 합리적 선택들이 맞물려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파레토 효율성은 무엇인가?
반면 파레토 효율성은 집단적 관점에서의 효율성을 말합니다.
파레토 효율성은 어떤 사람도 더 나은 상태가 될 수 없고, 다른 사람의 상태가 나빠지지 않는 상태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모든 사람이 더 나은 상태로 바뀌려면,그만큼 다른 사람의 상태가 나빠지지 않으면 안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원의 배분이나 이익의 분배에서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상황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합리적 선택과 파레토 효율성의 충돌
그렇다면 합리적 선택과 파레토 효율성이 충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게임 이론에서 합리적 선택은 각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결정을 내리게 만듭니다. 하지만 이 선택이 집단 전체의 효율성과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죠. 개인적인 이익을 우선시하는 선택이 집단 전체에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충돌을 잘 보여주는 게임 이론의 대표적인 예가 죄수의 딜레마입니다.
죄수의 딜레마: 합리적 선택이 왜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는가?
죄수의 딜레마는 게임 이론에서 가장 유명한 예시 중 하나로 두 명의 범죄자가 경찰에 붙잡혀 서로 다른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경찰은 두 사람에게 자백을 유도하려 합니다. 각 죄수는 자백을 할지 침묵을 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때 각각의 선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둘 다 침묵하면, 두 사람 모두 경미한 형량을 받음
- 한 사람이 자백하고, 다른 사람이 침묵하면 자백한 사람은 형량을 줄이고, 침묵한 사람은 긴 형량을 받음
- 둘 다 자백하면, 둘 다 긴 형량을 받음.
이 상황에서 각 죄수는 어떤 선택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일까요?
답은 자백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자백을 하면 자신의 형량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만약 한 사람이 침묵하고 다른 사람이 자백한다면, 자백한 사람은 형량을 줄일 수 있지만, 침묵한 사람은 더 큰 형량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각 죄수는 결국 자백을 선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선택은 둘 다 자백하여 둘 다 더 긴 형량을 받게 되는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 만약 두 사람이 둘 다 침묵을 선택했다면, 둘 다 더 가벼운 형량을 받을 수 있었을 텐데 말이죠. 이처럼 합리적인 선택이 결과적으로 집단 전체에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상황을 바로 파레토 비효율성이라고 합니다.
왜 이런 충돌이 발생하는가?
게임 이론에서는 각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한다고 가정합니다. 상호 배려나 협력이 부족할 때 개인적인 선택이 집단의 이익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최선의 선택이 다른 사람의 최선의 선택과 맞물리지 않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파레토 비효율적인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비협조적인 게임에서 집단의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결론: 합리적 선택은 왜 파레토 효율성을 해칠 수 있는가?
합리적 선택은 각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지만 집단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선택과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죄수의 딜레마처럼 각 개인이 합리적으로 행동하면 집단의 이익이 손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죠.
이는 파레토 비효율성을 초래하며 집단적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효율적인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합리적 선택이 파레토 효율성과 충돌하는 이유는 비협조적인 상황에서는 개인적인 이익 극대화가 집단 전체에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게임 이론은 개인적인 전략과 집단적인 효율성이 어떻게 엇갈릴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7년 연애끝에 이별하는 금명,영범커플 - 장기연애의 경제학 (1) | 2025.03.27 |
---|---|
[경제] 방관자의 효과와 경제학의 게임이론 : 복합전략이론의 적용 (0) | 2025.03.24 |
[경제] 비둘기파와 매파: 경제정책의 두 갈래 길 (1) | 2025.03.10 |
[경제] 트럼프 행정부의 최신 관세 부과 동향과 글로벌 경제 영향 분석 (1) | 2025.03.06 |
[경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과 중국 기업의 대응: 베트남은 수혜국인가? (0) | 2025.03.06 |